Intellectual Interests / 지적 관심사(關心事)
Multi-disciplined and reflexive-curious in nature, here are the topics that gives me meaning and motivations in life:
다학(문|제)적(多學(問|制)的) 융합(融合)된 접근과 탐구에 관심(關|觀心)이 많은 사람으로써, 제(我) 삶(生)에 동기(動機)부여(附與)가 되며 의미(意味)를 주는 주제(主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Meditation/exploration of signal processing, dynamic systems, machine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computational neuroscience, neuroprosthetics, neuromorphic computing, questions on [un|half-]consciousness, qualia and phenomenal field as scientific hypothesis or/and humanistic theory.
◦ 신호 처리(信號 處理), 동적 시스템(動的 系), 기계 학습(機械 學習), 인공신경망(人工神經網), 계산[론적]신경과학(計算[論的]神経科学), 신경보철(神經補鐵), 신경모사(神經模寫) 컴퓨팅, [무][반-]의식([無][半-]意識), 감각질(感覺質), 그리고 현상적 장(現象的 場)에 대한 질문들을 과학적(科學的) 가설(假說) 혹/및 인문학적(人文學的) 이론(理論)으로서 성찰(省察)/탐구(探究)하는 것.
◦ Responsible and long-term sustainable manualization/(semi-)automation and co-evolution of technology which does not forget its awareness of its impact on nature, environment, society/communities, individuals, others and self coexisting and going together.
◦ 나(我), 타인(他人), 개인(個人), 공동체/사회, 환경과 자연(自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식을 잃지 않고 공존(共存)하며 함께가는, 기술의 책임있고 장기적(長期的)으로 지속가능(持続可能)한 수/[반-]자동화(手/[半-]自動化)와 발전.
◦ Continuation of scholars' relation and service towards benefit of the public, while inheriting, encouraging, facilitating, fostering, intellectual curiosity, joy, honesty, meticulous/rigorous thinking and cross-validated and peer-reviewed truth (veritas).
◦ 학자(科学)/학계(科学)들의 대중|민중(大衆|民衆)과의 관계(科学) 및 공익(公益)을 위한 헌신을 지속하며, 지적 호기심, 즐거움, 정직함, 꼼꼼/엄밀한 사고, 그리고 교차검증, 동료검토 된 진리(veritas)를 상속, 장려, 촉진, 양육하는 것.
◦ Understanding the spirit of Sejong and scholars ("et al.") in the context of pre-modern Korean/Eastern history of science &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to modern Korean/Eastern/Western philosophy with its practical, adaptive, efficient, meticulous, considerate, thoughtful and human-centric aspects. 2° (second-order) cybernetic ethical fusion of science/scholarship/technology/society with humanism and arts.
◦ 세종과 학자들("et al.")의 정신을 전근대 한국/동양 과학기술(科學技術) 발전 역사적(歷史的) 맥락(脈絡)에서 이해(理解)하고 현대 한국 및 동서 철학에 적용한, 실용(實用)적이고 적응(適應)적이며, 효율적이고 꼼꼼/세심(細心)하며 배려있고 인간(人間)적인, 과학/학문/기술/사회의 2차 사이버네틱 [인(人)]윤리(倫理)와 인본주의(人本主義)/인문학적(人文學的) 융합(融合).
◦ Improving intuitivity, friendliness and accessibility to variety of "difficult and abstract" traditional scholarly subjects with richness of open models and examples for education, while promoting responsible usage and applications, maintaining intellectual rigour and honesty, trying to understand and sucessing the original creator's good will and intention behind.
◦ 전통적으로 "어렵고 추상적(抽象的)"이라고 여겨지던 다양한 학문들을 더 재미있고 직관(直觀)적이며 친밀(親密)/접근성(接近性)있게 만들고, 풍부한 열린 교육용 예제 및 모델들과 함께 책임감있는 사용/적용을 도모하며 그 뒤에 있는 지적 엄밀함과 정직성, 원작/창작자들의 좋은 의지 및 의도를 배우려 노력하고 이어나가는 것.
◦ Characteristica universalis
◦ 보편/통용특성표의문자(普遍/通用特性表意文字)
◦ Meditation, exploration, and discussion on variety of long-debated topics in metaphysics and how they are relevant to today's human life, community and society.
◦ 형이상학(形而上學)에서 오래 논의되어 온 다양한 주제들과 그것들이 오늘날 인간(人間)의 삶(生), 공동체(共同體), 사회(社會)에 어떤 연관(聯關)을 가지는지 사색(思索), 탐구(聯關), 토의(討議)하는 것.
◦ Media literacy, ob|subjectivity, interpretations, collective/societal information semantics and their dynamics (including casual/informal aspects of street epistemology and “memes”), religious propaganda/fundamentalism/absolutism/anti-intellectualism/authoritarianism/tribalism/nationalism/dominionism/imperialism/colonialism, spiritual abuse/trauma, discussion pertaining to problem of free will, individual existence, identity, meaning, intentionality, democratism, pluralistic-secularism, globalization, cosmopolitanism.
◦ 미디어 문해, 객주관(客主觀)성, 해석(解釋), 집단/사회적 정보 의미론과 그 역학 (예를 들어 길거리/저잣거리 인식론(認識論)과 “밈”의 캐주얼한/비형식(非形式)적인 측면(側面) 포함(包含)), 종교(宗敎) 프로파간다(宣傳物)/근본(根本)/절대(絕對)/반지성(反知性)/권위(權威)/부족(部族)/국가(國家)/지배(支配)/제국(帝國)/식민(植民)주의(主義), 영적(靈的) 폭력(暴力)/트라우마, 자유의지(自由意志), 개인(個人)의 실존(主客), 정체성, 의미(意味), 의도(意圖)성, 민주주의(民主主義), 다원적(多元的)-세속주의(世俗主義), 세계화(世界化), 세계시민주의(世界市民主義)와 관련된 의논들.